위클리 지관
위클리 지관에서는 평범한 일상속에서 잠시 '멈춤'신호를 받을 수 있는 삶의 물음들을 살펴봅니다. 책, 영화, 강연, 칼럼 등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서 매주 하나의 물음을 사유합니다. 매주 수요일, 나와 나를 둘러싼 세계를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.
- 글번호
- 제목
- 글쓴이
- 작성시간
- 조회
- 공지 [VOL.183] 당신의 봄, 지관서가에서 시작하세요. 바람결에 봄이 실려옵니다. 아직 아침저녁으로는 찬 기운이 남아 있지만, 나뭇가지 끝에 맺힌 꽃망울 하나가 조용히 속삭이듯 말합니다 – 깨어나세요, 봄이에요! 봄의 기척이...
- 황윤정
- 2025-03-25
- 조회수 33
-

- 공지 [VOL.182] 고통이 사라지면 행복이 찾아올까? 요즘은 사방에서 도파민이 넘쳐난다. 그래서 우리는 즉각적인 만족에 길들어져 있다. 우리가 뭔가를 사고 싶으면, 그다음 날 문간에 그게 떡 하니 놓여있다. 우리가 뭔가를 알고 싶으면...
- 김은희
- 2025-03-18
- 조회수 174
-

- 공지 [VOL.181] 당신의 3월은 어떤 세계를 열고 있나요? 3월의 전시 소식 유발 하라리는 『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』에서 예술이 사람들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말합니다.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을 넘어, 미래를 형성하는 힘을...
- 허혜선
- 2025-03-11
- 조회수 97
-

- 공지 [특별판] 해외석학강연 《유발 하라리: AI 시대, 인간의 길》 안녕하세요. 위클리지관에서 특별한 강연 소식을 알려드립니다. 『사피엔스』, 『호모 데우스』, 『넥서스』로 전 세계 지성계를 뒤흔든 유발 하라리가 한국에 옵니다. 인공지능 시대, 인...
- 황윤정
- 2025-03-06
- 조회수 847
-

- 공지 [VOL.180] 오늘도 기꺼이 실패하기 삼월의 소나무 잎 위에 하얀 눈꽃이 내려앉았습니다. 오늘은 이십사절기 중 세 번째 경칩(驚蟄)에 들어섭니다.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기 전 못다 한 이야기를 전하듯 어제부터 눈이 ...
- 관리자
- 2025-03-06
- 조회수 79
-

- 공지 [VOL.179]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AI 시대,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요? 알고리즘이 우리의 취향을 분석하고, 업무를 돕고, 때로는 우리의 결정을 대신 내리기도 하죠. 이런 시대에 인간의 ...
- 황윤정
- 2025-02-25
- 조회수 166
-

- 공지 [VOL.178] 행복으로 가는 길 “오늘날 물질과 행복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. 현대 문명의 풍요로움이 어떤 정형화된 행복을 가져다주었지요. (.....) 실비와 제롬이 행복해지고자 하는 순간, ...
- 김은희
- 2025-02-17
- 조회수 122
-

- 공지 [VOL.177] 그리움이 시작되는 곳, 2월의 전시 소식을 전합니다. 요즘 ‘물성매력’이라는 키워드가 주목 받습니다. 물성매력이란 재료 고유의 질감, 온도, 무게감 등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물리적 특성이 주는 매력을 말합니다. 쏟...
- 허혜선
- 2025-02-11
- 조회수 87
-

- 공지 [VOL.176] 매일 이별하며 살고있구나 동지(冬至), 양력의 새해, 음력의 새해, 그리고 봄의 시작 입춘(立春)까지. 몇 번을 거쳐 우리는 새해에 도착했습니다. 새로운 해의 뒷면에는 지나간 해와의 이별이 있습니다. 살아...
- 관리자
- 2025-02-05
- 조회수 112
-

- 공지 [VOL.175] 새해에 세운 목표를 향해 힘차게 걸어가시길 응원합니다. 2025년 새해를 맞아, 지관서가에서는 새해 희망과 목표를 적어보는 <止觀書架 희망 TIME BOX>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여러분은 새해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우셨나요?...
- 황윤정
- 2025-01-28
- 조회수 105
-

- 공지 [VOL.174] 문학이 기록하는 세상: 노벨상 수상 작가의 시선 문학은 단순히 한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이야기를 넘어, 그 시대를 관통하는 집단적 정서와 보이지 않는 갈등, 그리고 삶과 죽음, 사랑과 상실, 정의와 부정과 같은 인간 본질의 문...
- 김은희
- 2025-01-21
- 조회수 109
-

- 공지 [VOL.173] 1월의 전시 소식을 전합니다 뱀은 오랜 세월 동안 다층적인 상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문화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농경사회가 지속된 아시아권에서는 땅과 밀착하며 생명을 이어가는 존재이자,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...
- 허혜선
- 2025-01-14
- 조회수 144
-

- 공지 [VOL.172] 똑똑, 문을 열어주세요🚪 똑똑, 새해가 도착했습니다. 겨울의 풍경처럼 우리네 일상의 풍경도 몹시 춥고 시리고 꽁꽁 얼어붙었던 사이,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 이천이십오년에 와있습니다. 유난히 사무친 것이 많아...
- 이치훈
- 2025-01-08
- 조회수 188
-

- 공지 [VOL.171] 따뜻하고 평화로운 연말 되세요~ 줄탁동시(啐啄同時), 알에서 병아리가 부화하기 직전, 병아리가 안에서 단단한 껍질을 두드리고 어미 닭은 밖에서 이를 알아채고 함께 껍질을 두드리는 순간. 이처럼 안팎의 노력이 조화...
- 황윤정
- 2024-12-24
- 조회수 111
-

- 공지 [VOL.170]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민주주의는 그 장점과 유익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연약한 제도로,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. 특히, 민주주의 헌법만으로는 실패를 방지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습니다. 20세기 ...
- 김은희
- 2024-12-17
- 조회수 217
-
